오일샌드란 비튜멘, 모래, 물, 점토의 혼합물을 말하며, 오일의 점성이 매우 높아 자연적인 유동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열을 가하거나 또는 용매를 주입하여 점성을 낮추는 방법으로 개발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오일샌드는 세계적으로 부존하고 있는 자원량은 많으나 미개발 지역이 많아 중장기적으로 시장 확대가 기대되는 고부가가치 영역이며, 전 세계 중 특히 캐나다의 서부 지역과 베네수엘라에 집중 분포되어 있습니다.
공사는 2006년 캐나다 아사바스카에 위치한 블랙골드 오일샌드 생산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2018년 개발에 성공하여 현재까지 상업적인 생산 중에 있습니다.
오일샌드 개발을 통하여 축척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2018년부터 현재까지 오일샌드 생산플랜트 관련 정부연구과제를 수행 중에 있으며, 주로 오일샌드 생산방식, 통합운영 설비 및 사업화 모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저탄소 신공법을 이용한 중질유 회수증진 방안연구 및 국내 플랜트 부문의 기술 자립화를 통한 신규시장진출 경쟁력 확보 등 친환경적 접근 방법으로 국가 석유안보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작성기준일 : 2022-03-16 | 담당부서 : 글로벌기술센터 기술전략팀 | 연락처 : 052-216-3691, 3689 |
한국석유공사는 동해 고갈가스전 지중저장기술과 더불어 기존 ‘셰일 덮개암-사암 주입층’에 국한되어 있는 개념을 벗어난 국내 현무암층 대상 CCS 적용 가능성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공사는 국내 현무암 시료 및 저류층 조건을 바탕으로 한 실험 및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량적으로 CO₂ 광물화의 가능성 평가하고 향후 대규모 CCUS 사업, 블루수소 연계 사업 등 사업영역을 확장하여 국가 탄소중립 정책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작성기준일 : 2023-06-30 | 담당부서 : 글로벌기술센터 기술전략팀 | 연락처 : 052-216-3691, 3689 |
성큼 다가오는 수소 경제 시대에 수소 생산 방법에 따라 석유화학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수소, 천연가스를 고온고압 수증기와 반응시키는 개질수소, 전기로 물을 분해하여 생산하는 수전해 공정으로 대표되나 공정 과정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생산량에 한계가 있어 본격적인 국내 수소 도입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수소 사회 진입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청정하고 경제적이면서 더 많은 양의 수소생산이 필수적입니다. 이에 공사는 그 대안 중 하나로 떠오르는 자연수소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기존 수소의 생산방식과 다르게 생산을 위한 별도의 에너지원이 필요 없고, 지속해서 자연 충진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현재 공사는 육상지역의 지표조사 및 토양측정을 통하여 국내 최초로 수소 부존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해당 지역에 자체 개발하여 특허 출원한 수소 모니터링 장비를 활용하여 중장기적 모니터링을 시행할 계획입니다. 더하여 지표 조사작업을 전략적으로 확대하고 전국의 유망지역을 발굴해 정밀 평가할 예정입니다. 자연수소 탐사는 유·가스 탐사/개발 기술과 경험을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공사가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정에너지원 발굴을 통한 국내 에너지 안보와 국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미래 신성장 동력 분야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현재의 상업적인 성과보다는 공기업의 사회적 책임 의식을 가지고 정부와 학계 민간 등과 협업하여 중장기적 연구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작성기준일 : 2024-01-24 | 담당부서 : 글로벌기술센터 기술전략팀 | 연락처 : 052-216-3689 |
탄성파탐사 자료, 시추공 자료 등 석유개발 기술자료를 관리하며, 시스템의 지속적인 개선 및 전문 DB 시스템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성과 자료검색이 원활하도록 운영하고 있습니다.
• E&P분야 기술자료 관리(관련 DB 시스템: KOTIS, STUDIO, ProSource)
• 탄성파 탐사자료 변환 (자료 포맷 및 매체 변환)
• 시추시료 관리
작성기준일 : 2025-02-01 | 담당부서 : 글로벌기술센터 지질팀 | 연락처 : 052-216-3613 |